1. 감염병 발생 통계
질병관리청은 법정 감염병의 발생 현황을 주간 단위로 집계하여 제공합니다. 이를 통해 특정 감염병의 유행 여부를 파악하고, 신속한 대응이 가능합니다. 질병관리청질병관리청
- 주간 건강과 질병 보고서: 매주 발간되며, 주요 감염병의 발생 동향을 제공합니다. 질병관리청
- 감염병 포털: 감염병별, 지역별, 성별/연령별 통계를 조회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. 방역통합정보시스템
2. 국민건강영양조사(KNHANES)
국민의 건강 상태와 영양 섭취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는 조사로, 만성질환 유병률, 건강행태, 영양 상태 등을 분석합니다. 데이터. go데이터.go
- 비만 유병률: 2023년 기준, 19세 이상 전체 비만 유병률은 37.2%입니다. KOSISKOSIS
- 고혈압 유병률: 30세 이상 전체 고혈압 유병률은 25.5%입니다. KOSISKOSIS
- 당뇨병 유병률: 30세 이상 전체 당뇨병 유병률은 11.7%입니다. KOSIS
3. 지역사회건강조사(CHS)
지역 주민의 건강 상태와 건강 관련 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매년 실시되는 조사로, 지역 보건 정책 수립에 활용됩니다. 데이터. go데이터.go
- 조사 대상: 만 19세 이상 성인 약 23만 명을 대상으로 지역별 표본을 선정하여 조사합니다. 데이터.go
- 주요 지표: 흡연율, 비만율, 걷기 실천율, 우울감 경험률 등 다양한 건강 지표를 제공합니다. 질병관리청
4. 국가승인통계
질병관리청은 통계청의 승인을 받은 다양한 통계를 정기적으로 공표합니다.
- 주요 통계 목록:
- 국민건강영양조사데이터. go+3 KOSIS+3 데이터. go+3
- 지역사회건강조사질병관리청+9 데이터. go+9 질병관리청+9
- 청소년건강행태조사질병관리청+1 질병관리청+1
- 법정감염병발생보고질병관리청
- 퇴원손상심층조사질병관리청
- 희귀 질환등록통계 등 질병관리청+1KOSIS+1
🔍 통계 활용 방법
질병관리청이 제공하는 통계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:
- 정책 수립: 보건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근거 자료로 활용됩니다.
- 연구 및 학술 활동: 보건의료 분야의 연구 및 학술 활동에 필요한 데이터로 사용됩니다.
- 지역 보건 사업: 지역사회 건강증진 사업의 기획 및 평가에 활용됩니다.
- 국민 건강 관리: 개인 및 가정의 건강 관리에 참고 자료로 활용됩니다.
📎 참고 사이트
- 질병관리청 공식 홈페이지: https://www.kdca.go.kr질병관리청+11 질병관리청+11 질병관리청
- 감염병 포털: https://dportal.kdca.go.kr질병관리청+10 방역통합정보시스템+10 질병관리청+10
- 국민건강영양조사: https://knhanes.kdca.go.kr데이터. go
- 지역사회건강조사: https://chs.kdca.go.kr질병관리청+4 데이터. go+4 질병관리청+4
질병관리청의 통계 자료는 국민의 건강을 지키고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통해 보다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습니다.
'건강정보 > 질병 및 예방 및 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질병 예방접종의 종류와 필요성 (3) | 2025.05.18 |
---|---|
질병 증상 자가진단: 내 몸의 이상 신호를 알아차리는 방법 (1) | 2025.05.18 |
질병 예방 수칙: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 (2) | 2025.05.16 |
만성질환의 관리법: 건강한 삶을 위한 실천 전략 (4) | 2025.05.16 |
희귀질환 종류와 특징 (1) | 2025.05.15 |